1. 관계 데이터 모델


관계 데이터 모델은 데이터를 2차원 테이블 형태인 릴레이션(릴레이션 스키마와 릴레이션 인스턴스)으로 표현됩니다. 간단하게 말하자면 튜플의 집합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릴레이션에 대한 제약조건(도메인 제약, 기본키 제약, 외래키 제약)과 관계 연산을 위한 관계 대수(연산의 집합)를 정의합니다. 

관계 데이터 모델이 적용된 SQL언어는 비절차적 언어로 원하는 데이터를 쉽게 표현한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또한, 계층형 데이터 모델과 네트워크형 데이터 모델을 보완된 모델로 현재까지 가장 이상적인 모델입니다. 

관계 데이터 모델로는 우리 주변에서 가장 쉽게 접할 수 있는 Mysql, MongoDB, MariaDB 등이 있씁니다.


2.네트워크 데이터 모델


네트워크 데이터 모델은 계층 데이터 모델을 보완하여 데이터를 그래프로 이용해 데이터 논리 구조를 표현합니다. 또한, 레코드 타입과 링크들의 집합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상위 하나의 레코드에 대하여 하위레코드가 복수 대응하고, 하위 하나의 레코드에 상위 레코드도 복수 대응합니다. 따라서, 1:1 1:N, N:M과 같은 레코드의 관계가 됩니다.  대표적으로 DBTG, EDBS, TOTAL 등이 있습니다.



3.계층 데이터 모델


계층 데이터 모델은 트리 구조로 표현됩니다. 개체는 노드로 ㅍ현하고 개체 집합들 사이의 관계는 부모 자식간의 관계, 링크로 표현합니다. 트리 구조이기때문에 네트워크 데이터 모델과는 다르게 1:N으로만 표현이 가능합니다.


'Internet & Server'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료 구조의 필요성  (0) 2018.10.22
이진트리 운행법  (0) 2018.10.22
데이터 모델링  (0) 2018.10.22
mysql 명령어 모음  (0) 2018.10.11
Server란?  (0) 2018.10.10

+ Recent posts